전세 들어갈때 등기부등본 확인 방법(근저당설정 확인)
날씨가 완전여름이네요. 후덥지근하고 습도가 높아서 하루하루 지치네요. 올해는 비도 많고 많이 더울 거라고 하는데 벌써부터 이렇게 더우니 한 여름은 어떨지 무섭네요. 하지만 이 또한 지나가는 거니까 즐겁게 생활하자구요.

오늘은 요즘 계속해서 나오는 전세사기에대해 어떻게 하면 당하지 않을 수 있을까? 에 대해 알아볼 텐데요. 지금부터 전세 들어가기전, 후 그리고 살면서도 한번쯤 확인해 보아햐 하는 전세 등기부 등본 확인해야 하는 사항에 대해 알아볼게요.
일단 등기부 등본 확인 및 발급방법은 전에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되구요. ↓
등기부 등본 열람 및 발급방법, 보는 법
오늘은 등기부 등본 열람 및 발급방법과 어떻게 보는지 알아볼게요. 등기부 등본이라 하면 말은 많이 들어봤지만 어떻게 보는지 생소하실 텐데 차근차근 설명해 드릴게요. 1. 등기부 등본이란 2.
geulasia2.tistory.com
전세 입주 예정이신 분 또는 전세 살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등기부 등본에 "을구"를 꼭 자세히 살펴보셔야 합니다.
을구에는 근저당권 설정에 대해 기재되어 있습니다.
즉 소유주가 대출을 어느정도 가지고 있느냐를 확인할 수 있답니다.
근저당권 설정 (= 대출이 있다) 주택 소유주가 주택을 담보로 금융기관에 대출을 받았다는 건데요. 대출은 원금의 120~130%로 담보 설정이 가능합니다. |
등기부 등본 하단의 을구
등기 목적에서 근저당권 설정 확인하기
< 등기부 등본 설정 예시 >
그렇다면 근저당권 설정이 되어있으면 왜 위험하다고 할까요? 전세사기의 위험이 있기 때문인데요.
- 선순위 근저당 설정이 되어있는 집을 전세계약 할 경우
- 소유주가 대출금(빌린돈)을 갚지 못해 전셋집이 경매에 넘어간 경우
이처럼 선순위 근저당으로 인해 세입자는 배당순위에 밀려 보증금 전체를 반환받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서 등기부 등본을 꼭 확인해봐야 하는 건데요.
전세계약 전, 후, 살면서 한 번씩 확인해 봐야 하는 등기부 등본. 무엇을 체크해야 하는지 알아볼게요.
- 등기부 등본 발행 일자와 시간 확인하기: 계약서 작성 일자에 등기부 등본을 발급해 근저당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을구에 선순위 근저당 체크
- 주택 시세의 70%보다 융자 + 보증금이 많은지 적은 지 확인하기 ( 많을 경우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 있음)
앱다운로드안내
모바일 HUG 안심전세 로고 앱 다운로드 후 이용해 주세요. 앱스토어 또는 구글플레이에서 HUG안심전세로 검색해보세요.
onestop.khug.or.kr
안심전세 앱을 통해 전세계약 시 혼자서 판단하기 어려웠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전세 입주예정 또는 전세 살고 계신 분들이 확인해야 하는 등기부등본 "을구" 확인사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조금만 주의해서 확인하신다면 전세사기예방에 도움이 될 테니 꼭 확인하셔서 손해 보는 일이 없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이만 마칠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