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용면적과 공급 면적 용어 정리
안녕하세요. 주택이나 아파트를 구입하거나 임대를 할 경우 전용면적과 공급 면적을 확인해봐야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전용면적과 공급 면적에 대해 들어보기는 하였으나 헷갈리고 의미를 모르는 경우가 있어 오늘은 이 부분을 자세히 알아보고 쉽게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지금부터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은 무엇인지 용어 의미부터 차이점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보통 많은 분들이 크기를 말할 때 평수를 사용하는데 건설사에서는 전용면적과 공급면적 모두 ㎡를 사용합니다. 1평은 대략 3.3㎡로 계산되며 집의 크기마다 평수는 다르게 계산되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전용면적
전용면적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활하는 공간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방, 주방, 거실, 욕실등이 여기에 들어가게 되는데요. 그러므로 전용면적을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아무리 집 전체 크기가 넓어도 전용면적이 좁다면 생활공간이 적어지기 때문이죠.
아파트의 경우 전용면적이 적으면 확장을 해서 사용하는 방법 (즉 베란다 확장 등)도 있으니 잘 활용하면 보다 생활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급면적
공급면적은 주거 전용 면적에 공용 면적을 포함한 전체 면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전용면적 이외 계단, 복도, 엘리베이터, 창고 등 이웃과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을 포함한 전체 면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아파트의 평형은 전용면적이 아닌 공급면적으로 계산합니다.
차이점
전용 면적은 독립적으로 사용가능한 공간을 말하는 것으로 발코니의 경우 서비스 면적에 포함이 되기 때문에 더 넓은 공간 활용을 할 수 있습니다.
공급 면적은 전체 크기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공급면적을 알게 되면 주거생활공간을 제외한 편의시설과 그 외 추가 시설에 대한 공간크기를 알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에 대해 알아둔다면 집을 선택할 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오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